2024년 청년도약계좌 가입 신청이 가능합니다. 계좌 개설하려면 2024년 1월기준으로 나이 요건에 맞아야 합니다. 대상자는 1990년생부터 2005년생까지 가입이 가능하며 아래 청년도약계좌를 통해서 자세히 알아봅시다.
2024년 청년도약계좌
매월 70만원 한도내에서 5년동안 가입시 금리 6%와 비과세를 적용하면 48,845,000원을 받을 수 있는 정부지원사업입니다. 총 급여가 낮은 구간의 경우, 예를 들어 2,400만원 이하인 경우 매월 40만원까지 6% 의 정부기여금을 받을 수 있습니다. 따라서 총 급여가 낮을 수록 유리하게 설계되어 있는 정책자금입니다.
개요
- 2030세대의 중장기 자산형성을 위한 정책금융상품
- 가입기간 : 5년
- 납입금액 : 70만원 이내
- 금리 : 3년 고정금리, 2년 변동금리
- 정부지원금 : 최대 6% 및 이자소득세 비과세
2024년 기준 청년도약계좌 가입 나이
- 1990년 ~ 2005년 출생자
- 병역근무를 하는 기간을 제외하고 계산하기 때문에 만 19세부터 만 34세까지 가입이 가능합니다.
소득 조건
- 개인 : 총 급여액 7,500만원 이하
- 가구 : 중위소득 180% 이하
개인 소득 조건
청년도약계좌에 가입하기 위해서는 직전 과세기간의 총 급여가 7,500만원 이하여야 합니다. 개인 소득이 낮을수록 국가가 지원하는 정부기여금이 높아지게 됩니다.
개인소득 | 기여금 지급한도 | 기여금 한도 | 기여금 매칭비율 |
2400만원 이하 | 40만원 | 2.4만원 | 6.0% |
3600만원 이하 | 50만원 | 2.3만원 | 4.6% |
4800만원 이하 | 60만원 | 2.2만원 | 3.7% |
6000만원 이하 | 70만원 | 2.1만원 | 3.0% |
7500만원 이하 | - | - | - |
- 2,400만원 이하 기여금 지급한도 40만원 월납. 기여금 한도 2.4만원
- 3,600만원 이하 기여금 지급한도 50만원 월납. 기여금 한도 2.3만원
- 4,800만원 이하 기여금 지급한도 60만원 월납. 기여금 한도 2.2만원
- 6,000만원 이하 기여금 지급한도 70만원 월납. 기여금 한도 2.1만원
가구 소득 조건
구성원의 수에 따라서 금액이 달라지는데 중위소득 180% 이하여야 가입을 할 수 있습니다. 본인을 포함하여 주민등록등본상에 있는 구성원들의 모든 수입을 더하면 됩니다.
중위 소득 | 1인 가구 | 2인 가구 | 3인 가구 | 4인 가구 |
180% | 4,011,201 | 6,628,696 | 8,486,383 | 10,313,843 |
- 1인 가구 중위소득 4,011,201원
- 2인 가구 중위소득 6,628,696원
- 3인 가구 중위소득 8,486,383원
- 4인가구 중위소득 10,313,843원
신청 기간
청년도약계좌 가입 신청 후에 계좌 개설이 가능합니다. 가입 후에 별도의 안내가 오면 늦지 않게 계좌개설을 해야 합니다. 계좌개설 기간을 놓치더라도 재신청이 가능하지만 정책자금이 모두 소진되면 종료가 되므로 가능하면 빨리가는 것이 좋습니다.
- 가입 신청 : 2024년 1월 2일부터 1월 12일까지
- 계좌 개설 : 2024년 1월 18일부터 2월 8일까지
취급은행
가입신청을 은행에서 하기 때문에 취급은행에서 진행을 해야 합니다. 가입심사 절차는 취급은행에 가입신청을 하면 취급은행에서 서민금융진흥원에 가입요건 확인을 거친 후 결과 통보를 해줍니다. 결과에 따라서 취급은행이 청년에게 계좌개설 안내 후 계좌 개설이 됩니다.
- 취급은행 : 국민, 신한, 하나, 우리, 농협, 기업, 부산, 대구, 광주, 전북, 경남, SC제일
목돈마련 정부지원 금융상품
청년이 월 70만원씩 납입을 한다고 가정한다면 은행이자 640만원과 정부기여금 160만원을 받을 수 있습니다. 결과적으로 5년동안 원금 4,200만원, 이자 640만원, 정부기여금 160만원, 합계 5,000만원을 마련할 수 있는데 비과세라 세금을 내지 않아도 되므로 서울에서 원룸 반전세 정도 구할 수 있는 금액이 마련되는 셈입니다. 정부에서 하는 별도의 주거지원정책을 통해서 주거를 구할 수 있는 만큼 적금으로 5년안에 안전하게 5,000만원을 마련할 수 있는 적금입니다.
은행별 고정금리
금리는 은행에 자율로 두었는데 현재 가장 높은 금리는 연 4.5%의 기본금리와 소득 우대금리 연 0.5%, 은행별 우대금리 연 1.0%로 총 연 6%의 금리혜택을 받을 수 있습니다. 기본금리와 소득 우대금리, 은행별 우대금리를 합하면 연 6%의 금리는 모두 동일하나 은행별로 기본금리, 소득 우대금리, 은행별 우대금리가 다른만큼 주거래 은행을 선택해서 가입하는 것이 적절합니다.
은행 | 기본금리 | 소득 우대금리 | 은행별 우대금리 |
국민, 신한, 하나, 우리, 농협, 기업 | 4.5 | 0.5 | 1.0 |
대구, 부산, 경남 | 4.0 | 0.5 | 1.5 |
광주, 전북 | 3.8 | 0.5 | 1.7 |
2024년 청년도약계좌 달라진 점
- 2022년 소득으로도 가입가능
- 육아휴직급여도 소득으로 인정
- 청년희망적금 만기자금 일시납입 허용
'돈을 많이 버는' 카테고리의 다른 글
네이버페이 하나통장 하나체크카드 만들기 (2) | 2024.01.11 |
---|---|
국민취업지원제도 구직촉진수당 1유형 후기 (0) | 2023.07.15 |
흑석자이 무순위 청약과 취소후재공급 청약으로 5억 벌기 (0) | 2023.06.20 |
IBK기업은행 IBK청년도약계좌 신청은 i-ONE Bank에서 신청하기 (0) | 2023.06.18 |
청년도약계좌 무직자, 알바 신청조건 (0) | 2023.06.18 |
댓글